The Clinical Document Architecture and the Continuity of Care Record: A ritical Analysis
출처: Journal of the American Medical Informatics Association
저자: Jeffrey M. Ferranti, MD, R.
분야: Medical Informatics
키워드: CDA, CCR
Summary
- CDA는 HL7 version 3 RIM(Reference Information Mode)에 기반해 있고, CCR은 Healthcare 의사들이 정보교환의 필요성에 의해 개발되었다.- CCR은 가볍고 쉽게 접근이 가능하며, 많은 기관들이 빠르게 Prototype을 개발할 수 있다.
- CCR의 아키텍쳐는 CDA의 복잡성과 범위를 포함한다.
- CCR은 환자에 대해 가장 적합하고 알맞는 건강정보의 핵심을 포함하는 Flexible 한 문서를 만들 수 있다.
- CCR은 현재 환자의 Medical problems들과 직접적으로 연관되어 있는 데이터들에 포커스가 맞추어져 있다.
- CCR은 환자에 대한 EHR의 Overview라고 말할 수 있다.
- CCR은 환자들에게 그들의 건강 정보를 관리할 수 있도록 권한을 준다. 예를 들면 환자가 집에서 컴퓨터로 약물에 대해 리뷰를 할 수 있으며, PDA를 통해 복용을 동기화 할 수 있다.
- CDA는 텍스트, 이미지, 소리, 다른 멀티미디어 콘텐츠도 포함할 수 있는 완벽한 정보 객체로 정의되어 있다.
- CDA는 HL7 Reference Information Model 로부터 직접적으로 파생되어서 HL7의 기술로 통합하여 설계할 수 있다.
'Annotation > Paper Review' 카테고리의 다른 글
Paper / Creation and implications of a phenome-genome network (0) | 2011.01.12 |
---|---|
Paper / HL7 Clinical Document Architecture, Release 2 (0) | 2010.10.27 |
Paper / A vision for the future of genomics research (0) | 2010.05.12 |
Paper / The Role of Genomics in the Identification, Prediction, and Prevention of Biological Threats (0) | 2010.04.06 |
Paper / SBML(The systems biology markup language) (3) | 2010.04.06 |